좌의정공파종회

Home/지파종회안내/좌의정공파종회

한음(漢蔭) 이덕형선생(李德馨) (1561~1613)

한음 이덕형선생은

조선왕조 역사상 최연소인 31세에 문형(文衡 : 홍문관대제학, 예문관대제학, 성균관 지사 등, 세 개 기관장을 겸직하는 사람)에 추천되신 후, 문형과 영의정을 세 차례씩 지내셨을 뿐만 아니라 이웃 중국과 일본에도 이름이 널리 알려져 임진왜란 때는 왜적이나 명나라의 장수들이 협상이 필요하면 항상 선생만을 대화상대로 지명하였다는 기록이 있을 만큼 당대 최고의 학문과 덕망으로 선조, 광해군 양 대에 걸쳐 내외적으로 명성을 떨치셨던 분이다.
왜군적장 앞에 나아가 얼굴빛 하나 변하지 않고 준엄하게 꾸짖어 두려움에 질려있던 우리 군사들은 물론 서슬이 퍼렇던 왜군들까지 탄복하여 칭송을 했다는 한음 이덕형 선생은, 한 때 일부 지방에서 왕이 되실 거라는 소문이 돌 정도로 조정과 백성들의 신망을 한 몸에 받으셨으나 말년에는 간신들의 모함으로 삭탈관직당하여 은거지에서 나라걱정에 침식을 잊으시다가 세상을 떠나셨는데 이 때 모든 백성이 눈물을 흘렸고, 이를 본 죽마고우 백사 이항복은 "성인은 살아서는 그 뜻을 빼앗지 못하고 죽어서도 그 이름을 빼앗지 못 하는구나"고 탄식하였다. 선생은 조선 중기 명재상으로 우리 광주이씨 문중 역사에서 가장 빛나는 업적을 남기신 조상 중 한 분이시다.
어릴 적에 그의 외가가 있던 경기도 포천과 진외가가 있던 경상도 상주에 가끔 부모를 따라가 머문 적이 있었는데

가는 곳마다 범상치 않은 언행으로 그 지방의 후손들에게 한음의 언행에 대한 전설이 구전되어 내려오면서 오늘날까지도 포천과 상주지방의 유림들 사이에서는 그를 추앙하는 사람들이 많아 포천의 용연서원과 문경의 근암서원에서 지금도 봄, 가을로 지방 유림들에 의해 절사가 봉행되고 있다.
18세에 진사, 생원 양과에 합격하고 20세에 부묘별시(附廟別試) 수석으로 합격하면서 관계에 첫발을 들여놓은 한음은 뛰어난 문장과 비범한 언행으로 임금인 선조와 당시의 대신들에게 많은 총애를 받게 되었다.
당시에 젊은 선비들을 상대로 한 글짓기에서는 늘 수석을 차지하게 되어 나중에는 스스로 글짓기에 나서기를 삼가 하였다고 한다.
한음보다 3년 앞서 20세 때에 진사시험에 합격한 오성 이항복(鰲城 李 恒福)은 25세 때인 1580년 알성과에 급제하여 같은 해 문과에 급제한 한음과 동시에 승문원에 발령을 받아 관계에 들어오게 되었는데 이때부터 이 두 사람은 앞서거니 뒤서거니 하면서 모든 요직을 두루 거치고 한음이 타계 할 때까지 30여 년간을 국가의 대소사에 뜻을 같이하면서 깊은 우정을 맺게 되었다.
그가 32세 때인 임진왜란 중에는 명나라 원군을 청하는 청원사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왔고 명나라 장수 이여송의 접반사가 되어 그를 따라 일선에서 온갖 고생을 하면서 명나라 군사와 같이 보내게 되었고, 정유재란 때 역시 명나라 장수 양호의 접반사로 종군하면서 일선에서 직접 명나라 군사의 작전을 도와주게 되었다.
한음은 임진, 정유 양대 왜란 동안 처음부터 끝까지 명나라 군사를 따라 다니며 일선에서 전쟁을 경험한 유일한 조선의 대신이었다.

또 그가 이조 정랑으로 있던 28세 때 일본의 장수 현소와 평의지가 부산 동래에 이르러 조선과 대화하기를 청하니 선조는 한음을 선위사로 임명하여 이들과 회담하게 하였다.
이때 한음의 학문과 인품이 일본에 알려지면서 임진, 정유 양 왜란 때에는 왜적들이 조선과 회담할 일이 있으면 반드시 한음을 지목하여 협상코자 하였다.
1592년 광해군이 세자가 되면서부터 여러 사람이 고명사신으로 명나라에 가서 광해군의 세자책봉을 허락 받으려 했으나 이후 16년 동안이나 명나라에서는 광해군을 인정하지 않았다. 1603년 광해군이 왕권을 계승하자 1608년 명나라에서는 부당한 왕권계승을 조사한다며 조사단을 파견하였고 난처한 광해군은 명나라에서 명망이 높던 한음을 명나라 조사단의 접반사로 임명하여 그들을 접대하면서 자신의 왕위 계승이 불가피하였음을 설명하고 그대로 명나라로 돌아가게 하였다.
명나라 사신들이 돌아가자 광해군은 한음을 고명사신으로 임명하여 사신들이 북경에 도착하기 전에 한시바삐 명나라에 먼저 가서 자신의 왕위계승을 허락 받고 오기를 간청하였다.

왕명을 받은 한음은 북경으로 출발하여 6개월 동안 북경에 머물면서 천신만고 끝에 중국 황제의 승인을 받아오게 되었고 광해군은 명나라 황제의 허락을 받아와 왕권을 확실하게 해준 한음의 공로를 못 잊어 그를 영의정으로 삼아 대북인들의 끊임없는 탄핵에도 불구하고 끝까지 그를 감싸주면서 자신의 옆에 있게 하려고 애썼다.
광해군은 1612년에 한음을 익사, 형난공신(翼社 亨難功臣)에 훈록 하고 한원부원군(漢原府院君)에 책봉하기도 하였으나 그 후 정쟁의 와중에서 득세한 반대세력들에 의해 폐지되었다.

선조 말년에 이르러 붕당정치가 심화되고 삼사( 三司 : 홍문관,사헌부, 사간원을 이르며 왕이나 대신의 잘못을 지적하여 임금에게 바로잡기를 주청하는 기관)의 관헌들이 파당의 이해에 따라 탄핵 상소문을 올리는 일이 잦았다. 이때 한음도 여러 차례의 무고한 탄핵을 받았고 선조의 큰아들 임해군의 비리를 비판하였다 하여 선조의 눈 밖에 나면서 승승장구하던 그도 한직으로 밀려나게 되었다.
선조가 죽고 광해군이 왕위를 계승하자 당파간의 정쟁이 극심해 지면서 삼사의 상소문과 이에 따른 국문으로 조정이 조용할 날이 없게 되고 이런 와중에 영창대군 죽이는 것을 반대한다는 이유로 한음도 삭탈관직을 당하여 낙향하게 되었으며 한달간 침식을 잃고 나라 걱정만 하시다가 1613년 10월 향년 53세로 돌아가셨다.

출생지

한음선생은 조선 제13대왕 명종17년(1561) 2월12일 서울의 성명방(誠明坊: 지금의 중구 남학동)에서 지중추부사 이민성(李民聖)과 영의정 유전(柳典)의 동생인 문화유씨(文化 柳氏) 사이에서 태어났다.
용산구 동자동과 후암동의 경계가 되는 고개를 송경재 또는 쇠경재, 한자로 송경현(誦經峴)이라 하는데 그것은 선생이 이 고개 부근에 살면서 경전(經典)을 낭송하던 소리가 들렸다는 말에서 연유한 이름이다. 한경지략(漢京識略) 각동조(各洞條)에 '송경현(誦經峴)이 남대문 밖에 있는데, 그 곳에 한음 이덕형이 살던 집이 있다.'라고 기록되었다.

묘소(경기도 지방문화재 제89호)


한음묘비
(경기도 양평군 양서면 목왕리 산82-1번지에 소재.)


한음묘소전경

선생의 장남(如圭)이 양근(양평)군수로 몇 년 지내시는 동안 선생과 부친 지사공(民聖)이 가끔 들리셨는데 당시에 선생 부자분께서 자주 다니시던 중은사(中隱寺 또는 叉溪寺)라는 절과 선생의 조부 항렬이신 동고 이준경 선생의 묘소가 있는 이곳 목왕리의 산수를 좋아하셨기 때문에 이곳에 부모님 산소자리를 친히 잡아놓으셨다.(선생은 토정선생의 조카사 위로서 처가 어른들에게 풍수지리를 배워서 다른이들의 산소자리를 잡아주시기도 했는데 특히 예산 대솔면에 있는 선생의 장인 이산해의 묘소는 선생이 직접 잡으셨고 지금도 전국 최고 명당자리로 꼽힌다.)
임진왜란 중에 강원도 안협의 백암산에서 왜군을 피하다 28세의 젊은 나이로 자결하시어 현지에 모셨던 선생의 부인과 김포 통진에 모셨던 선생 모친의 묘소를 왜란이 끝난 후에 선생이 이곳으로 이장하셨다. 1603년 이장을 위해 영의정을 사직하시고 내려오셨으나 임금은 사직을 허락하지 않고 오히려 한 달간의 휴가를 주고 경기관찰사에게 호상(護喪)이 되어 주관하기를 명하고 200명의 일꾼들을 내려 보내 도와주도록 하였다. 1613년 선생이 돌아가시자 후손들이 이곳의 부인 묘소에 합장으로 모셨다.


신도비(神道碑: 경기도 문화재 제89호)


영정(影幀) 및 영정각(影幀閣)
영정각은 경기도 양평군 양서면 목왕리 639번지에 소재.

1590년경에 당시의 궁중화가 이신흠(李信欽)에 의해 처음 그려졌다. 문헌에 따르면 1777년에 포천의 용연서원에, 1830년에는 상주의 근암서원과 백운동의 소수서원에도 모셨고 근암서원의 영정은 1869년에 도남서원으로 옮겼다는 기 록이 있으나 현재는 종가에 모신 영정 이외에는 그 행방을 알 수가 없다. 한음의 9대 종손 이의익은 1860년대에 당시의 궁중화가 이한철(李漢喆)에게 부탁하여 여러 본의 전신 및 반신모본을 그리게 하였는데 지금까지 원본과 함께 그 일부가 종가에 보존되어 있다. 또 일제시대에 종가의 영정 일부가 당진 일가들에 의해 모셔져 현재 충남 문화재로 지정되어 보존되고 있고, 일부는 일본인들에 의해 반출되어 일본 대학박물관등에 보존되고있다.
현재의 영정각은 1986년 후손들이 건립하여 처음에는 이한철 영정을 모셨으나 보존이 어려워 경기도 박물관에 위탁하고 지금은 사진으로 대체하였다.

대아당(大雅堂)

경기도 남양주군 조안면 송촌리 소재.
한음선생께서는 1603년 부인과 모친의 묘소를 양평군 양서면 목왕리로 이장하신 뒤, 묘소가 잘 보이는 운길산 수종사 언덕에 대아당이라는 별서(別墅)를 마련하여 1605년에 부친을 그곳에서 살게 하시고 선생께서도 자주 내려와 부친을 봉양하고 북한강 건너 모친의 산소를 돌보면서 사셨다.
대아당에는 사저 이외에 애일(愛日)이라는 서실(書室)과 진일(眞佚)이라는 헌함(軒檻), 그리고 이로(怡老)와 읍수라는 정자등이 별도로 있었으며 한음 종가로 유지되어 오다가 일제때인 1914년 선생의 12대 종손 때 주위의 종토와 함께 타인에게 넘어가 현재는 집터만 남아있고 모두 유실되었다.선생이 말을 타고 내리셨던 하마석과 손수 심으신 은행나무 두 그루가 지금도 남아있다.
한음이 이곳에 머물 때면 그와 절친했던 백사 이항복, 노계 박인로, 사명대사 등이 가끔 들러서 함께 지내기도 하였는데 특히 노계의 유명한 사제곡과 누항사, 조홍시가 등은 노계가 이곳 대아당에서 한음선생에게 지어올린 글이다.
1613년 선생은 이 곳에서 부친보다 5년 먼저 돌아가셨다.

한음문고(漢陰文庫)와 연보(年譜)

1634년 선생의 장자(如圭)가 경상도 상주군수로 있을때 선생의 유고를 모아 목판(四冊,八券)을 새겨서 河陽縣(지금의 경북 경산)에서 초판을 간행한 뒤 가까운 근암서원에 보관시켰고 1668년 선생의 손자들(象鼎과 그 사촌 象震)이 유고를 추가 판각(五冊, 十二券)하여 두 번째 판을 간행하였다.
1869년 선생의 9대 종손 의익(宜翼: 이조판서, 판중추부사)은 이기양(基讓: 한음 7대손 예조참판)이 작성한 연보와 행장(行狀), 시장(諡狀)등을 추가하여 세 번째 판을 간행하였고 1930년 선생의 13대 종손이 부여에서 네 번째 판을 간행 하였다.
현존하는 목판은 모두 410 여 매(30X20cm)로 이루어져 있으나 간행할 때마다 분실된 부분을 새로 판각한 것이 수 십매 이르고 현재도 십여매가 분실된 채로 천안의 독립기념관에 위탁 보존되고있는데 일제에 의해 삭제된 부분이 많다.
1989년 한학자 이경영(李京泳)에 의해 한글번역판이 간행되었는데 호침(胡琛)이 지은 대아당별서(大雅堂別墅) 감상문 이 추가되었다.

한음 산소 소재지 목왕리의 유래

양평군 양서면 목왕리는 본래 양근군 서중면 지역으로서 산골이 되어 나무가 많으므로 무왕골 또는 목왕(木旺)동이라 하였는데 융희 2년(1908)에 양평군에 편입되고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동막리, 사촌리 일부와 서시면의 신원리 일부를 병합하여 목왕리라 해서 양서면에 편입되었다.

목왕리는 아홉분의 정승묘가 있다하여 옛날부터 구정승골이라 불린다.
이곳에 유택이 있는 분은 영의정 문익공 이덕형, 영의정증직 지사공 이민성(이덕형 부친), 영의정 충정공 이준경, 영의 정증직 이수정(이준경 부친), 영의정 증직 이종억(이의익부친) 등 광주이씨 다섯분과 좌의정 익원공 김사형, 좌의정 증직 제청공 신효창, 좌의정 문충공 민희, 우의정 민암 등이다.